# 윈도우 운영체제는 폴더라고 하고, 리눅스는 디렉터리라고 하는데 둘이 동일.

 # 디렉터리는 무엇인가를 담아 놓을 수 있음

 # mkdir :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/root/a , mkdir ./b , mkdir c

 # ls 명령어를 통해 지정한 경로에 뭐가 있는지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는데,
   목록이 출력됫을때 이름이 파랑색이면 그건 디렉터리임을 뜻함. 이름이 검정이면 파일
 
 # 명령어는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 데, 명령어 옵션이라는 것이 특별한 기능을 하게 만드는
   문자..

 # ls -l /root 해당 디렉터리에 자세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옵션 -l

 # ls -l 로 출력되는 용량의 단위는 Byte임

 # ls -a 는 지정한 경로에 모든걸 다 보여달라는 의미.(숨김처리된것 까지)

 #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안 보이게 숨김처리 할 수 있음.

 # 파일명이나 폴더 앞에 .이 붙어 있으면 숨김처리 되어있다는 뜻

 # ls -lh h는 용량의 단위를 붙여서 보여달라는 것. 대신 용량이 부정확함

 # ls -R 해당 경로 디렉터리 안에 하위 모든 정보를 보여주게하는 옵션

 # ls -S 용량이 큰것부터 좌측에 정렬해서 보여줌.

 # ls /root /home /dev 한번에 다 확인 가능함.

 # mkdir 원하는경로{aaa,bbb} = 해당경로에 디렉터리를 여러개 생성 하게하는 {}

 # mkdir -p test1/test2/test3 원래는 test3를 만들라는 뜻이지만 -p를 이용하면
   가는 경로에 디렉터리가 없다면 자동으로 다 만들어 주라는 옵션
 
 # rmdir 디렉토리 삭제

 ###########################


 # 파일 : 무엇인가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뜻 함
 
 # 디렉터리 : 디렉터리 또는 파일을 담고 있는 데이터를 뜻 함. 바구니 같은 역할

 #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목적은 정리 정돈을 하기 위함.

 # 파일을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를 기록해 놓기 위함

 # touch F1 : F1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

 # rm F1 : F1 파일을 지우는 명령어

 # rm -f : 묻지말고 바로 지우라는 옵션

 # rm -r : -r 옵션을 이용해서 디렉터리도 지울 수 있음.
      하위 디렉터리도 다 지울껀지 물어봄.

 # rm -f : 묻지말고 하위디렉터리도 다 지움


 # 리눅스는 한줄에 명령어 한개만 사용할 수 있음.

 # mkdir D1; touch F1 : ';'를 통해서 동시에 사용가능, (파일,디렉터리 동시 생성)
 # ; 콜론을 명렁어 마지막에 붙여서 한줄에 명령어를 여러개 사용할 수 있음.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06  (0) 2017.09.17
Linux_05  (0) 2017.09.17
Linux_03  (0) 2017.09.17
Linux_02  (0) 2017.09.16
Linux_01  (0) 2017.09.16


 # 통신 :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함.

 # 저희 가상 컴퓨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,
   즉 통신이 가능하게 설정 예정..

 # ip address show 명령어를 통해 LAN 카드의 설정 정보를 확인 가능.

 # 루프백은 가상의 네트워크 어댑터임

 # 리눅스를 설치하면 루프백이라는 가상 어댑터가 자동으로 하나 만들어짐.

 # 컴퓨터, 노트북, 핸드폰 등등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진행하기 위해서는
   IP Address가 필요함

 # 사람이 택배를 보낼 때 집 주소를 사용해서 보내듯이
   컴퓨터도 데이터를 보낼 때 IP주소가 필요함.

 # IPv4 x.x.x.x
 # x마다 0~255중에 수가 올 수 있음
   예) 192.168.77.5

 # IPv6

 # ifcfg-ens33 이라는 파일은 ens33이라는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파일임.
 # 무엇인가 설정할 수 있는 파일..

 #아래 명령어를 통해 그 파일을 열기를 함
   vi /etc/sysconfig/newwork-scripts/ifcfg-ens33
 # 들어간 후
   BOOTPROTO=static
   IPADDR=100.100.100.110
   NETMASK=255.255.255.0
   ONBOOT=yes
  
   : 한후 wq

 # : wq = 저장함과 동시에 그파일을 빠져나감

 #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어댑터는 비 화설화 상태임.
   즉, 못 쓰는 상태임. 사용하기 위해서는 활성화를 진행해야함.

 # ifup ens33 = 어댑터 활성화

 # ipup 명령어를 통해 지정한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 할 수 있는데,
   컴퓨터가 껏다가 다시 켜지면 비활성화 된다.

 # 결국 컴퓨터를 킬 때마다 계속 활성화 작업을 해야함.

 # ONBOOT 기능 : 컴퓨터가 전원이 켜질 때 네트워크 어댑터를 자동으로 활성화 시키는 기능

 # ICMP :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지 체크하는기능
   ping 100.100.100.120

 # 스냅샷 : 가상 컴퓨터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기능

 # 스냅샷은 VMWare 기능이지 Linux의 기능이 아님..

 # 스냅샷을 통해 현재 상태를 저장해 놓고 나중에 언제든지
   다시 그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음

 # pwd 명령어 : 내 현재 위치를 알려달라는 명령어

  /root <-- 최상위에 있는 root라는 디렉터리
  
  #구분자 : 왼쪽과 오른쪽이 다른것임을 구분하는 문자 = /
 
 # 자동완성 기능 : 탭
 # 탭을 두번 누르면 같은 파일디렉토리명 목록을 보여줌

 # ./ <-- 내 현재 위치

 # 절대경로 표기법 : 경로를 지정할 때 최상위부터 지정하는 방법
 # 상대경로 표기법 : 경로를 지정할 때 내 현재 위치부터 지정하는 방법

 # cd .. =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 # cd ../..  = 두칸 디렉토리로 이동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06  (0) 2017.09.17
Linux_05  (0) 2017.09.17
Linux_04  (0) 2017.09.17
Linux_02  (0) 2017.09.16
Linux_01  (0) 2017.09.16


 # 메모리 : 무엇인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

 # RAM 하드웨어를 통해 메모리가 만들어지게 됨.
 
 # RAM 마다 메모리의 용량이 다름..

 # 만약에 가상 컴퓨터 메모리 용량을 1.5G로 지정해서
   4개를 만들고 그 가상 컴퓨터를 전부 가동시키면..
   1.5G * 4 = 6G가 실제 RealPc에서 사용되어지게됨..

 # 가상 컴퓨터의 RAM 용량은 내 Pc에 RAM 용량을 고려해서 설정해야함.

 # 가상 컴퓨터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내 PC에 RAM의 용량이 많아야 함..

 # 가상 컴퓨터에 할당 된 메모리가 가상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있으면,
   그 메모리를 차지 하지 않음..

 # 가상 컴퓨터 메모리를 1GB를 할당해도,
   그 가상 컴퓨터가 1GB중에 500MB를 사용하면 RealPc에서는 500MB
   만큼 사용하게 됨.

 # 휘발성 메모리(ram) 장점: 속도가 빠르다
    단점 : 자장공간 적음
 
 # 비 휘발성 메모리(HDD) 장점 :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큼
    단점 : 속도가 느림

 # 물리적 디스크 : 실제로 존재하는 디스크를 뜻ㅎ함
 # 논리적 디스크 :

 # 가상 하드 디스크의 타입
  - 고정 크기 : 만약 가상 하드 디스크를 100g짜리 만들면 realpc에서 무조건 100G를 차지하게됨
  장점 : 성능이 저하 되지 않음
  담전 : 용량이 낭비될 수 있다

  - 동적크기 : 만약 가상 하드 디스크를 100g짜리 만들어도 디스크를 저장한 만큼만 realpc에서 차지하게됨
  장점 : 용량이 낭비되지 않음
  단점 : 성능이 저하된다.


 #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
  - 싱글 파일 : 파일 1개로 저장 함
  장점 : 파일을 관리하기 용이함
  단점 : 파일 하나의 사이즈가 너무 커질 수 있음.
   그래서 USB에 저장한다든지 e-mail을 통해서
   누군가한테 전송할 때 제약이 발생 할 수 있음.

  - 멀티 파일 : 파일을 여러개로 쪼개서 저장함
  장점 : 용량이 작은 USB 여러개에 쪼개서 보관 한다든지
   여러개로 쪼개서 e-mail로 전송 한다고 했을 때
   제약이 발생하지 않고, 전송 할 수 있게 됨..
  단점 : 여러개로 파일이 쪼개져 있어서 관리하기 어렵다.

 # 싱글 파일은 성능이 저하되지 않지만,
   멀티 파일은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음..(여러번 읽어 와야됨)


 # centOS운영체제가 설치가 되면 자동으로 root라는 이름에 계정이 하나 만들어짐.
   root라는 계정은 관리자 계정임..
   관리자 계정은 운영체제에서 모든걸 할 수 있는 계정을 뜻함.

 # 입력 대기 상태 :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

 # 로그인을 진행하면 입력 대기 상태가 진입 됨. 명령어를 작성할 수 있음

 # 명령어 : 운영체제한테 무엇인가를 하라고 지시하는 걸 뜻함.

 # 운영체제 환경
  - CLI : 명령어를 사용하는 환경
  - GUI : 그래픽을 보며 마우스를 사용해서 사용하는 환경을 그래픽 환경이라함

 # CentOS7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GUI 환경을 설치 할 수 있지만 설치를 안함..

 # GUI 환경은 컴퓨터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함..

 # 서버를 운영할 때는 리소스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해 GUI 환경을 설치 안함.

 # CLI == TLI == TUI 커맨드라인인터..텍스트라인인터..텍스트유저인터..


 ################# 명령어 ###################
 
 # hostname : 컴퓨터이름 확인
 # hostnamectl set-hostname 컴퓨터이름 : 컴퓨터 이름 바꾸기
 # exit : 로그아웃

 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06  (0) 2017.09.17
Linux_05  (0) 2017.09.17
Linux_04  (0) 2017.09.17
Linux_03  (0) 2017.09.17
Linux_01  (0) 2017.09.16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