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윈도우 운영체제는 폴더라고 하고, 리눅스는 디렉터리라고 하는데 둘이 동일.
# 디렉터리는 무엇인가를 담아 놓을 수 있음
# mkdir :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/root/a , mkdir ./b , mkdir c
# ls 명령어를 통해 지정한 경로에 뭐가 있는지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는데,
목록이 출력됫을때 이름이 파랑색이면 그건 디렉터리임을 뜻함. 이름이 검정이면 파일
# 명령어는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 데, 명령어 옵션이라는 것이 특별한 기능을 하게 만드는
문자..
# ls -l /root 해당 디렉터리에 자세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옵션 -l
# ls -l 로 출력되는 용량의 단위는 Byte임
# ls -a 는 지정한 경로에 모든걸 다 보여달라는 의미.(숨김처리된것 까지)
#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안 보이게 숨김처리 할 수 있음.
# 파일명이나 폴더 앞에 .이 붙어 있으면 숨김처리 되어있다는 뜻
# ls -lh h는 용량의 단위를 붙여서 보여달라는 것. 대신 용량이 부정확함
# ls -R 해당 경로 디렉터리 안에 하위 모든 정보를 보여주게하는 옵션
# ls -S 용량이 큰것부터 좌측에 정렬해서 보여줌.
# ls /root /home /dev 한번에 다 확인 가능함.
# mkdir 원하는경로{aaa,bbb} = 해당경로에 디렉터리를 여러개 생성 하게하는 {}
# mkdir -p test1/test2/test3 원래는 test3를 만들라는 뜻이지만 -p를 이용하면
가는 경로에 디렉터리가 없다면 자동으로 다 만들어 주라는 옵션
# rmdir 디렉토리 삭제
###########################
# 파일 : 무엇인가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뜻 함
# 디렉터리 : 디렉터리 또는 파일을 담고 있는 데이터를 뜻 함. 바구니 같은 역할
#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목적은 정리 정돈을 하기 위함.
# 파일을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를 기록해 놓기 위함
# touch F1 : F1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
# rm F1 : F1 파일을 지우는 명령어
# rm -f : 묻지말고 바로 지우라는 옵션
# rm -r : -r 옵션을 이용해서 디렉터리도 지울 수 있음.
하위 디렉터리도 다 지울껀지 물어봄.
# rm -f : 묻지말고 하위디렉터리도 다 지움
# 리눅스는 한줄에 명령어 한개만 사용할 수 있음.
# mkdir D1; touch F1 : ';'를 통해서 동시에 사용가능, (파일,디렉터리 동시 생성)
# ; 콜론을 명렁어 마지막에 붙여서 한줄에 명령어를 여러개 사용할 수 있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