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통신 :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함.
# 저희 가상 컴퓨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,
즉 통신이 가능하게 설정 예정..
# ip address show 명령어를 통해 LAN 카드의 설정 정보를 확인 가능.
# 루프백은 가상의 네트워크 어댑터임
# 리눅스를 설치하면 루프백이라는 가상 어댑터가 자동으로 하나 만들어짐.
# 컴퓨터, 노트북, 핸드폰 등등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진행하기 위해서는
IP Address가 필요함
# 사람이 택배를 보낼 때 집 주소를 사용해서 보내듯이
컴퓨터도 데이터를 보낼 때 IP주소가 필요함.
# IPv4 x.x.x.x
# x마다 0~255중에 수가 올 수 있음
예) 192.168.77.5
# IPv6
# ifcfg-ens33 이라는 파일은 ens33이라는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파일임.
# 무엇인가 설정할 수 있는 파일..
#아래 명령어를 통해 그 파일을 열기를 함
vi /etc/sysconfig/newwork-scripts/ifcfg-ens33
# 들어간 후
BOOTPROTO=static
IPADDR=100.100.100.110
NETMASK=255.255.255.0
ONBOOT=yes
: 한후 wq
# : wq = 저장함과 동시에 그파일을 빠져나감
#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어댑터는 비 화설화 상태임.
즉, 못 쓰는 상태임. 사용하기 위해서는 활성화를 진행해야함.
# ifup ens33 = 어댑터 활성화
# ipup 명령어를 통해 지정한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 할 수 있는데,
컴퓨터가 껏다가 다시 켜지면 비활성화 된다.
# 결국 컴퓨터를 킬 때마다 계속 활성화 작업을 해야함.
# ONBOOT 기능 : 컴퓨터가 전원이 켜질 때 네트워크 어댑터를 자동으로 활성화 시키는 기능
# ICMP :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지 체크하는기능
ping 100.100.100.120
# 스냅샷 : 가상 컴퓨터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기능
# 스냅샷은 VMWare 기능이지 Linux의 기능이 아님..
# 스냅샷을 통해 현재 상태를 저장해 놓고 나중에 언제든지
다시 그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음
# pwd 명령어 : 내 현재 위치를 알려달라는 명령어
/root <-- 최상위에 있는 root라는 디렉터리
#구분자 : 왼쪽과 오른쪽이 다른것임을 구분하는 문자 = /
# 자동완성 기능 : 탭
# 탭을 두번 누르면 같은 파일디렉토리명 목록을 보여줌
# ./ <-- 내 현재 위치
# 절대경로 표기법 : 경로를 지정할 때 최상위부터 지정하는 방법
# 상대경로 표기법 : 경로를 지정할 때 내 현재 위치부터 지정하는 방법
# cd .. =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# cd ../.. = 두칸 디렉토리로 이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