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VMware에 네트워크 관련 된 설정을 할 때 subnet IP를 100.100.100.0 으로 잡는것은
   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를 100.100.100.3~254를 사용하게 만들겠다는 것임.

 # IP 대역에서 마지막 부분을 1과 2를 VMware가 씀..
    그래서 1과 2는 가상 컴퓨터에서 못 씀.

 # 게이트웨이 : 내가 있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, 거쳐지나가는 장비가 누구인지를 뜻함.

 # IP를 가지고 통신할 때는 통신 방식이 TCP와 UDP로 나뉘어짐..

 # TCP통신 : 장점 : 신뢰성이 보장됨
    단점 : 속도가 UDP통신에 비해 느림

 # UDP통신 : 장점 : 속도가 TCP통신에 비해 빠름
     단점 :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음

 #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

 # VMware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할 때 HostPort를 10000번으로 지정하는 것은
    RealPc로 들어온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 Port가 10000번인 데이터를 포워딩해서 넘기겠다.

 # 버추얼 머신 포트가 20000번이면 포워딩해서 넘겨줄 때 목적지 포트를 20000번으로 변경해서
    넘기겠다는 설정

 # 싱글 모드 : 윈도우 운영체제에 제공되는 안전모드 같은 것.
      운영체제에 문제가 발생해서 비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
     위해서 사용하는 모드임..

 # 싱글 모드 접속방법 :
 - 부팅 중에 e를 눌러 진입
 - ro를 rw로 수정
 - rhgb quiet --> init=/bin/bash 로 수정
 - ctrl+x

 # 리눅스 운영체제에 관리자인 root의 비밀번호를 까먹었을때 다시 설정하는 방법.
    - 싱글모드 진입
    - passwd root 로 원하는 비밀번호 2번 입력
    - touch /.autorelabel
    - exec /sbin/init

 # Bash Shell 스크립트 : 리눅스 명령어를 조합해서 만들어 놓은 파일을 뜻함.
 # 쉘 스크립트는 파일에 내용으로 작성한 명령어를 일괄적으로 실행 해 주는 파일임
 # 쉘 스크립트로 사용할 파일은 파일에 이름 뒤에 확장자 .sh를 붙여 이름을 작성함.
 # 쉘 스크립트 파일에 최상단에는 #!/bin/bash를 작성해야함
 # 이 파일이 bash shell scripts임을 의미하게 됨. 
 # 쉘 스크립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 명령어씩을 실행해줌
 # source 명령어는 지정한 파일을 실행시켜주는 명령어임

 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15  (0) 2017.09.17
Linux_14  (0) 2017.09.17
Linux_12  (0) 2017.09.17
Linux_11  (0) 2017.09.17
Linux_10  (0) 2017.09.17

 # 브릿지 네트워크로 가상 컴퓨터를 설정하면 RealPc가 실제로 연결하고 있는
    네트워크랑 연결 됨.

 # 브릿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목적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함.

 # IPv4는 약 43억개 정도만 사용할 수 있음.
 # IPv4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NAT라는 기술이 제기되고
    현재는 NAT는 필수로 자리 잡음.

 # NAT : 네트워크 주소인 IP를 변환 해주는 기술임.
 # NAT라는 개념이 나오면서 동시에 IP라는 것을 구분해서 사용하자라고 함.

 # IP를 공인 IP와 사설 IP로 구분지어 사용하자고 제기함.
 # 공인 IP라는 것을 실제 인터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주소로 쓰고, 사설 IP라는 것을
   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자고 제시함.

 # 내부 네트워크 : 학원 안, 회사 안, 집 안
   ISP의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된 기업 또는 개인에 장비 쪽이 내부임.

 # 예를들어서 우리 회사 안에 컴퓨터가 2천대가 존재 함.
    그 컴퓨터에 IP는 사설IP라고 해서 임의로 아무거나 막쓰고, 그 컴퓨터가
    인터네트워크랑 통신할 때 만 공인 IP로 변환해서 통신시킴으로써, 43억개 정도 밖에
    안되는 공인 IP를 절약해서 쓰자라는 개념이 NAT임

 # 브릿지를 잡은 가상 컴퓨터의 IP는 어떤거로 잡아야 할지 알기 위해서는
    가상컴퓨터가 가상으로 연결한 실제 네트워크 장비로 접속해서 설정이 어떤 IP 대역으로
    되 있는 지 확인 해야함.

 # 상황에 따라 그 네트워크 장비에 접속을 못 하는 상황이 발생 될 수도 있음.
    그럴때는 RealPC가 사용하고 있는 IP가 뭔지를 확인해서 브릿지 가상 컴퓨터에 IP를
    무엇을 잡을 지 결정 할 수 있음.

 # 반드시 IP는 서로 달라야 한다. 동일한 IP를 가진 장비가 있으면 IP충돌로 인해서
    통신이 안된다.

 #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3

 # 게이트웨이 : 외부로 통신할 때 나가는 문
 # 나가는 문 == 외부로 통신할 때 거쳐지나가는 네트워크 장비
 # 학원에서는 UTM이 게이트웨이로 지정되어야 함.

 # 브릿지 잡은 가상 컴퓨터의 게이트웨이는 RealPC에 설정 되 있는 게이트웨이 주소를
    확인해서 똑같이 잡으면됨.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14  (0) 2017.09.17
Linux_13  (0) 2017.09.17
Linux_11  (0) 2017.09.17
Linux_10  (0) 2017.09.17
Linux_09  (0) 2017.09.17

 # SSH(Secure Shell) : 원격 접속 서비스

 # SSH를 통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장비에 접속해서 그 장비에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음.

 # ssh 100.100.100.120 <- 해당 ip로 ssh접속을 진행하겠다는 명령어임

 # ssh 접속을 진행할 때는 비밀번호를 접속 대상에 root 계정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함

 # ssh를 사용하는 목적은 원격 장비 관리.

 # 윈도우용 SSH 프로그램 중에 putty라는 무료 프로그램이 있음

 # SSH Server 프로그램 : SSH 접속을 당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.
       누군가가 나한테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

 # SSH Client 프로그램 : SSH Server 프로그램한테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

 # 리눅스 명령어 ssh 100.100.100.120 <- 이건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임

 # 기본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ssh Server, Client 프로그램이 모두 설치가 되 있고,
    ssh Server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가동 됨.

 

 

 # touch 명령어는 아무 내용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임.

 # fallocate -l 1G bbb <-- 파일에 용량이 1Gbyte인 bbb라는 파일을 만들겠다는 뜻

 #  fallocate로 용향을 지정할 때 용량의 단위를 생략하면 Byte로 지정됨.

 # 용량을 가지고 있는 파일을 만드는 목적은 테스트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함.

 # 예) 만약 특정 디렉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 했다고 했을때 그 설정이 잘 되는지
    확인하는 용도로 일정 용량을 가지고 있는 파일을 만들어서 테스트하는 용도로 쓰게 됨.

 # egrep : 파일에 내용을 찾는 명령어
 # find : 파일 또는 디렉터리에 이름을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

 # find /root -name bbb : 이 명령어는 /root를 대상으로 이름이 bbb인
    파일을 검색해 보고 있다면 경로와 함께 파일에 이름을 출력해 주게됨. 없으면 출력안됨.

 ### find 명령어의 옵션
 -name aaa : 파일에 이름이 aaa
 -type f : 파일인 것을
 -type d : 디렉터리인 것을
 -size +100M : 용량이 100M를 초과하는 것을
 -size 100M : 용량이 정확하게 100M인것을
 -size -100M : 용량이 100M 미만 인것을
 -atime -3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3일 이내에 접근한적 있는 것을. accessed time시간 = 접근시간
 -atime +30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30일을 초과한 접근시간을 찾겠다
 -atime 3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접근한지 3일이 된 것을
 -mtime +3 : 수정한..
 -ctime +3 : 변경한..
 -perm 777 : 권한이 777로 설정 된 것을 ..
 -user root : 소유자가 root인 것을..
 -group root : 소유그룹이 root 인것을..
 -exec rm -f {} \; <-- 찾아진 것을 rm -f 명령어로 삭제하겠다.


 #stat 명령어는 지정한 파일에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임

 # 파일에는 3가지 시간 정보를 기록함
 -  accessed time : 파일에 접근한 시간
 -  changed time : 변경한 시간
 -  modified time : 수정한 시간

 
 # KST : 한국 표준 시간
 # date 명령어를 통해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를 알아낼 수 있음. 운영체제에 설정 된
    날짜와 시간정보가 출력되는 것임.
 
 # date -s "2010-05-05 13:30:22"
    운영체제 시간/날짜 정보를 지정한것으로 변경.
 # date +%F <-- 날짜만 출력
 # date +%r <-- 시간 정보만 출력

 # 로그파일은 운영체제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기록한 파일을 로그파일이라고 함.

 # 로그파일에는 문제가 언제 발생 했는지를 기록하게 됨.
    즉, 파일에 날짜와 시간 정보가 기록 됨..

 # 그런데 운영체제에 날짜와 시간 정보가 잘 못 돼 있으면 파일에 잘 못 기록 되게 됨..
 # 그래서 운영체제에 시간/날짜는 정확하게 유지를 해야 함.

 # 메인보드에 장착 된 건전지..

 # NTP(Network Time Protocol) :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를 다른 장비들한테 알려주는 서비스임.

 # yum 명령어는 외부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것을 설치할 수 있음..
 # 결국 yum은 외부랑 통신이 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임
 # yum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함.

 # ping 8.8.8.8 <- 구글 미국 회사 장비로 ping 명령어를 해서 통신이 된다면 외부 인터넷과
    통신할수 있음을 확인하게 됨.

 # ping www.google.com <- 통신이 된다면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.

 # yum install rdate : rdate를 설치 하겠다.
 # yum remove rdate : rdate를 삭제 하겠다.

 # yum -y install rdate : 묻지말고 설치
 # yum -y remove rdate : 묻지말고 삭제

 # rdate -s time.bora.net : LG유플러스 NTP서버의 도메인 주소임
 # rdate -s : 지정한 NTP 서버한테 날짜/시간/정보를 동기화 해올 수 있음.

 # 네트워크 재시작 : systemctl restart network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13  (0) 2017.09.17
Linux_12  (0) 2017.09.17
Linux_10  (0) 2017.09.17
Linux_09  (0) 2017.09.17
Linux_08  (0) 2017.09.17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