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SSH(Secure Shell) : 원격 접속 서비스
# SSH를 통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장비에 접속해서 그 장비에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음.
# ssh 100.100.100.120 <- 해당 ip로 ssh접속을 진행하겠다는 명령어임
# ssh 접속을 진행할 때는 비밀번호를 접속 대상에 root 계정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함
# ssh를 사용하는 목적은 원격 장비 관리.
# 윈도우용 SSH 프로그램 중에 putty라는 무료 프로그램이 있음
# SSH Server 프로그램 : SSH 접속을 당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.
누군가가 나한테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
# SSH Client 프로그램 : SSH Server 프로그램한테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
# 리눅스 명령어 ssh 100.100.100.120 <- 이건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임
# 기본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ssh Server, Client 프로그램이 모두 설치가 되 있고,
ssh Server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가동 됨.
# touch 명령어는 아무 내용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임.
# fallocate -l 1G bbb <-- 파일에 용량이 1Gbyte인 bbb라는 파일을 만들겠다는 뜻
# fallocate로 용향을 지정할 때 용량의 단위를 생략하면 Byte로 지정됨.
# 용량을 가지고 있는 파일을 만드는 목적은 테스트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함.
# 예) 만약 특정 디렉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 했다고 했을때 그 설정이 잘 되는지
확인하는 용도로 일정 용량을 가지고 있는 파일을 만들어서 테스트하는 용도로 쓰게 됨.
# egrep : 파일에 내용을 찾는 명령어
# find : 파일 또는 디렉터리에 이름을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
# find /root -name bbb : 이 명령어는 /root를 대상으로 이름이 bbb인
파일을 검색해 보고 있다면 경로와 함께 파일에 이름을 출력해 주게됨. 없으면 출력안됨.
### find 명령어의 옵션
-name aaa : 파일에 이름이 aaa
-type f : 파일인 것을
-type d : 디렉터리인 것을
-size +100M : 용량이 100M를 초과하는 것을
-size 100M : 용량이 정확하게 100M인것을
-size -100M : 용량이 100M 미만 인것을
-atime -3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3일 이내에 접근한적 있는 것을. accessed time시간 = 접근시간
-atime +30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30일을 초과한 접근시간을 찾겠다
-atime 3 : 현재 시간으로 부터 접근한지 3일이 된 것을
-mtime +3 : 수정한..
-ctime +3 : 변경한..
-perm 777 : 권한이 777로 설정 된 것을 ..
-user root : 소유자가 root인 것을..
-group root : 소유그룹이 root 인것을..
-exec rm -f {} \; <-- 찾아진 것을 rm -f 명령어로 삭제하겠다.
#stat 명령어는 지정한 파일에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임
# 파일에는 3가지 시간 정보를 기록함
- accessed time : 파일에 접근한 시간
- changed time : 변경한 시간
- modified time : 수정한 시간
# KST : 한국 표준 시간
# date 명령어를 통해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를 알아낼 수 있음. 운영체제에 설정 된
날짜와 시간정보가 출력되는 것임.
# date -s "2010-05-05 13:30:22"
운영체제 시간/날짜 정보를 지정한것으로 변경.
# date +%F <-- 날짜만 출력
# date +%r <-- 시간 정보만 출력
# 로그파일은 운영체제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기록한 파일을 로그파일이라고 함.
# 로그파일에는 문제가 언제 발생 했는지를 기록하게 됨.
즉, 파일에 날짜와 시간 정보가 기록 됨..
# 그런데 운영체제에 날짜와 시간 정보가 잘 못 돼 있으면 파일에 잘 못 기록 되게 됨..
# 그래서 운영체제에 시간/날짜는 정확하게 유지를 해야 함.
# 메인보드에 장착 된 건전지..
# NTP(Network Time Protocol) :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를 다른 장비들한테 알려주는 서비스임.
# yum 명령어는 외부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것을 설치할 수 있음..
# 결국 yum은 외부랑 통신이 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임
# yum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함.
# ping 8.8.8.8 <- 구글 미국 회사 장비로 ping 명령어를 해서 통신이 된다면 외부 인터넷과
통신할수 있음을 확인하게 됨.
# ping www.google.com <- 통신이 된다면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.
# yum install rdate : rdate를 설치 하겠다.
# yum remove rdate : rdate를 삭제 하겠다.
# yum -y install rdate : 묻지말고 설치
# yum -y remove rdate : 묻지말고 삭제
# rdate -s time.bora.net : LG유플러스 NTP서버의 도메인 주소임
# rdate -s : 지정한 NTP 서버한테 날짜/시간/정보를 동기화 해올 수 있음.
# 네트워크 재시작 : systemctl restart network