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계정 만료일 : 만들어져 있는 계정을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정.

 # 계정 만료일을 20180803로 지정하면 딱 그날짜까지만 그 계정을 로그인 할 수 있음.

 # usermod -e를 사용해서 만료일을 지정할 때 날짜로 지정할 수가 없음.
 1970년 01 월 01일 기준으로 몇초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할지 초 단위로 지정해야함.

 # 계정이 만료된다고 계정이 삭제 되지는 않음.

 # usermod 명령어 옵션
 -c : 코맨트를 변경
 -d : 홈 디렉터리 변경
 -e : 만료일을 변경
 -u : UID 변경 (로그인중엔 변경 불가)
 -g : GID 변경
 -s : Shell 변경
 -l : 사용자이름 변경
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 

 # HTML 문서 : 홈페이지를 띄워줄 때 사용하는 파일임.

 # http : 홈 페이지를 띄워주는 웹 서비스를 뜻 함.
  HTML문서를 보여주는 서비스임

 # 아파치 : http 서비스를 해 주는 HTTP Server 프로그램 (여러가지가 있음)

 #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DNS 서비스라고 함.
 # KT회사에서 DNS서버를 운영하고 있는데, KT DNS server IP : 168.126.63.1

 #### 도메인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
 # vi /etc/resolv.conf 파일은 장비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때 이용할 DNS server를 지정하는 파일임.
 # 파일안에 nameserver 168.126.63.1 삽입하면 도메인 주소 사용 가능

 #### 아파치 설치 방법 (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.)
  yum -y install httpd
 # 인스톨 후 서비스 시작 : systemctl start httpd
    바로 http 서비스가 시작됨

 # 익스플로러, 크롬 등 웹 사이트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HTTP Client 프로그램이라고 함.

 # Server : 무슨 서비스가 됫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
 # Client : 무슨 서비스가 됫든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비.

 # http://www.naver.com
  위 주소를 URL이라고 함.

 #http://100.100.100.110 하면 접속이 안됨. (방화벽때문)
 # http 서비스는 서비스 포트를 TCP/80번을 사용 함.
 # 웹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에 80번 포트를 허용해야 함.

 # 방화벽 설정  vi /etc/firewalld/zones/public.xml
    내용안에   <port protocol="tcp" port="80"/> 추가 (80번 포트를 허용하겠다)
    적용 후 방화벽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firewalld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21  (0) 2017.09.19
Linux_20  (0) 2017.09.19
Linux_18  (0) 2017.09.19
Linux_17  (0) 2017.09.19
Linux_16  (0) 2017.09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