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Linux_13

Pista 2017. 9. 17. 01:40

 # VMware에 네트워크 관련 된 설정을 할 때 subnet IP를 100.100.100.0 으로 잡는것은
   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를 100.100.100.3~254를 사용하게 만들겠다는 것임.

 # IP 대역에서 마지막 부분을 1과 2를 VMware가 씀..
    그래서 1과 2는 가상 컴퓨터에서 못 씀.

 # 게이트웨이 : 내가 있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, 거쳐지나가는 장비가 누구인지를 뜻함.

 # IP를 가지고 통신할 때는 통신 방식이 TCP와 UDP로 나뉘어짐..

 # TCP통신 : 장점 : 신뢰성이 보장됨
    단점 : 속도가 UDP통신에 비해 느림

 # UDP통신 : 장점 : 속도가 TCP통신에 비해 빠름
     단점 :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음

 #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

 # VMware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할 때 HostPort를 10000번으로 지정하는 것은
    RealPc로 들어온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 Port가 10000번인 데이터를 포워딩해서 넘기겠다.

 # 버추얼 머신 포트가 20000번이면 포워딩해서 넘겨줄 때 목적지 포트를 20000번으로 변경해서
    넘기겠다는 설정

 # 싱글 모드 : 윈도우 운영체제에 제공되는 안전모드 같은 것.
      운영체제에 문제가 발생해서 비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
     위해서 사용하는 모드임..

 # 싱글 모드 접속방법 :
 - 부팅 중에 e를 눌러 진입
 - ro를 rw로 수정
 - rhgb quiet --> init=/bin/bash 로 수정
 - ctrl+x

 # 리눅스 운영체제에 관리자인 root의 비밀번호를 까먹었을때 다시 설정하는 방법.
    - 싱글모드 진입
    - passwd root 로 원하는 비밀번호 2번 입력
    - touch /.autorelabel
    - exec /sbin/init

 # Bash Shell 스크립트 : 리눅스 명령어를 조합해서 만들어 놓은 파일을 뜻함.
 # 쉘 스크립트는 파일에 내용으로 작성한 명령어를 일괄적으로 실행 해 주는 파일임
 # 쉘 스크립트로 사용할 파일은 파일에 이름 뒤에 확장자 .sh를 붙여 이름을 작성함.
 # 쉘 스크립트 파일에 최상단에는 #!/bin/bash를 작성해야함
 # 이 파일이 bash shell scripts임을 의미하게 됨. 
 # 쉘 스크립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 명령어씩을 실행해줌
 # source 명령어는 지정한 파일을 실행시켜주는 명령어임